Memory (기억 장치)
종류
-
RAM은 읽기와 쓰기가 가능한 휘발성 메모리로,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사라짐
-
컴퓨터의 메인 메모리로, CPU가 처리할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
-
ROM은 읽기 전용 메모리로, 데이터 수정이 불가능하고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유지됨
-
컴퓨터의 부팅 과정에서 필요한 기본 프로그램이나 BIOS와 같은 시스템 레벨의 지시사항을 영구히 저장하는 데 사용
주소 공간
-
논리 주소는 각 프로그램에 부여된 0번지부터 시작하는 주소이며, 물리 주소는 실제 하드웨어 상의 메모리 주소
-
베이스 레지스터와 한계 레지스터는 프로그램의 메모리 접근 범위를 제어하고 보호함
-
MMU(메모리 관리 장치)는 논리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담당
캐시 메모리
-
CPU가 연산을 빨리한다 해도 메모리에 접근하는 시간이 느리면 CPU의 빠른 연산 속도는 아무런 쓸모가 없음
-
이러한 상황 빠른 접근속도로 해결해주는 것이 캐시 메모리임
-
캐시 메모리는 CPU와 메모리 사이에 위치하여 데이터 접근 속도를 향상시킴
-
컴퓨터가 사용하는 저장장치들은 ‘CPU에 얼마나 가까운가’를 기준으로 계층적으로 나타낼 수 있음
(CPU에 가까운 저장장치일수록 용량은 작지만 빠른 저장장치) -
위의 표는 이러한 정보를 담은 저장장치 계층 구조 표임
가상 메모리(Virtul Memory)
-
가상 메모리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물리적 메모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메모리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혁신적인 메모리 관리 기법을 뜻함
-
가상 메모리는 물리적 메모리(RAM)보다 큰 메모리 공간을 사용할 수 있게 함
-
가상 메모리는 프로세스 격리, 메모리 보호, 멀티태스킹 등 다양한 장점을 제공
-
성능 저하와 복잡한 관리라는 단점도 가지고 있음
작동 원리
- CPU는 가상 주소를 사용하며, MMU가 이를 물리 주소로 변환하는 주소 변환 과정을 수행
-
페이지 테이블과 MMU를 활용하여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
-
메모리는 페이지(Page) 단위로 나뉘며, 페이지 테이블이 가상 주소와 물리 주소의 매핑 정보를 저장
-
TLB(Translation Lookaside Buffer)는 페이지 변환 정보를 빠르게 접근하기 위한 캐시 메모리를 뜻함
-
페이지 부재(Page Fault) 발생 시 운영체제는 하드디스크의 스왑 공간에서 필요한 페이지를 메모리로 로드함
-
대표적인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으로는 FIFO, LRU, LFU 등이 있음